<변수의 사용>
Java에서 변수를 사용하려면
선언하고 초기화해야 하는 것을 정리했으니
변수를 사용하는 법을 알아보자.
int year = 0; // 0을 int 타입의 year이라는 이름의 변수에 저장하고
System.out.println(year); // year이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을 콘솔에 실행하라
변수 선언 및 할당하고
그 변수를 명령어들의 값으로 이용하면 된다.
<System.out.print();>
위 예시에서 사용한 명령어 System.out.println();이 무엇인지
이제막 Java를 배우기 시작한 지금은 정확한 의미를 알 수는 없다.
System. // 컴퓨터야
out. // 바깥(콘솔)으로
print // 출력해줘
ln // 줄(line) 바꿔서
() // 괄호()안의 값을
; // 마침표
괄호()안의 값을
eclipse의 콘솔(Console, 코드의 실행 결과를 보여주는 창)에
출력하라는 명령어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.
참고로,
System.out.print();도 괄호()안의 값을
eclipse의 콘솔에 출력하는 명령어지만
줄 바꿈이 없이 값들이 전부 붙어서 출력된다.
예를들어
System.out.println(1);
System.out.println(2);
라는 명령을 하면
1
2
라고 출력하는데
System.out.print(3);
System.out.print(4);
로 명령하면
34
로 출력한다.
<System.out.println(); 단축키>
System.out.println();은 굉장히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
eclipse에 자동완성 기능이 있다.
syso를 입력하고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space바를 누르면
System.out.println();이 자동완성된다.
<변수의 사용 2>
한번 지정된 변수는 여러번 사용할 수 있다.
int year = 0; // 0을 int 타입의 year이라는 이름의 변수에 저장하라
System.out.println(year); // year이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을 콘솔에 실행하라
System.out.println(year+1); // year이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에 1을 더해 콘솔에 실행하라
System.out.println(year+"년"); // year이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에 "년"이라는 문자열을 결합하여 콘솔에 실행하라
이라고 명령하면
1번째 System.out.println 명령어를 통해 0을 출력하고
2번째 System.out.println 명령어를 통해 0+1을 연산하여 출력하고
3번째 System.out.println 명령어를 통해 0과 년을 결합하여 출력한다.
<더하기부호(+)>
Java에서 더하기부호(+)는
수학에서처럼 숫자와 숫자 사이에 +가 있는 경우는
그 값들을 더한다.
더하기(+) 뿐만 아니라,
빼기(-), 곱하기(*), 나누기(/)도 마찬가지이다.
글자와 숫자, 글자와 글자 사이에 +가 있는 경우에는
연산하는 것이 아니라
그 값들을 결합하여 문자열로 출력한다.
(예: "겨"+"울"+12 는 "겨울12"로 출력한다)
<변수의 특징>
하나의 변수는 단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지만
기존의 값을 버린뒤 새로운 값을 저장할 수 있고
명령어를 위에서 아래로 실행하기 때문에
여러번 할당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.
int year = 2021;
System.out.println("올해는 " + year + "년");
year = 2022;
System.out.println("내년은 " + year + "년");
위 출력값은 아래와 같이 해도 되고
int year = 2021;
System.out.println("올해는 " + year + "년");
year = year + 1;
System.out.println("내년은 " + year + "년");
아래와 같이 해도 나온다.
int year = 2021;
System.out.println("올해는 " + year + "년");
System.out.println("내년은 " + (year+1) + "년");
어떤 결과값을 위해 만들어 내기 위해
코드를 작성는 방법들은 여러 가지가 있다.
개발자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.
가능한 단순화하고, 의도와 의미를 분명히 하여
어떤 개발자가 봐도 해석할 수 있도록 코드의 가독성을 상승시키고
유지보수를 하기 쉽게 해야 한다.
'. Java의 정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데이터 타입의 필요성 (0) | 2021.07.01 |
---|---|
[Java] 변수의 명명규칙, 식별자 명명규칙, 상수 (0) | 2021.07.01 |
[Java] 변수의 값 교환, tmb (0) | 2021.07.01 |
[Java] 변수의 초기화(할당), 대입연산자(=) (0) | 2021.07.01 |
[Java] 변수 정의, 변수 선언, 세미콜론(;) (0) | 2021.06.30 |